[자막뉴스] 1년만에 종말 맞은 흑해곡물협정…다시 요동치는 세계 곡물시장<br /><br />흑해 곡물협정이 적용되는 마지막 곡물선이 우크라이나 오데사 항구를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7월 튀르키예의 중재로 체결된 이 협정은 이후 3차례 연장됐지만, 러시아의 일방적인 중단 선언으로 재연장이 무산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우크라이나산 곡물을 실은 선박이 안전하게 흑해를 통과하도록 담보해온 약속을 이제 끝내겠다는 뜻.<br /><br />러시아의 연장 거부는, 우크라이나가 점령 중인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'크림대교'가 공격받은 직후 발표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러시아는 두 사안이 서로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아니오. (흑해곡물협정 종료와 크림대교 폭발은) 연관돼 있지 않습니다. 이 테러 공격 이전에 푸틴 대통령이 협정에 대한 우리 입장을 이미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협상 복귀의 전제 조건으로 항행 안전보장 철회와 공동조정센터 해체 등에 대해 구체적인 결과를 내놓을 것을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, 러시아와 관계없이 해상 곡물 수출을 계속하겠고 나섰고,<br /><br />국제사회는 일제히 러시아의 결정을 규탄하며, 즉각 거둬들일 것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러시아의 흑해곡물협정 이행 종료 결정은 매우 유감스럽습니다.<br /><br />곡물 수출 차질 가능성이 커지자 전 세계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도 재차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, 발표 직후 밀 선물 가격이 3% 급등하는 등 곡물시장이 출렁였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이 같은 행보는,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지구촌 식량난을 볼모로 서방의 제재 완화를 얻어내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곡물 수출길이 다시 막히면서 저개발국이 겪게 될 식량 위기의 책임도, 서방에 떠넘길 공산이 크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#흑해곡물협정 #러시아 #우크라이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